-
함수형 프로그래밍과 Effect System을 이용한 의도가 명확한 코드 작성하기
Side Effect를 효율적으로 다루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살펴봅니다.
-
실무에서 적용하는 테스트 코드 작성 방법과 노하우 Part 3: Given 지옥에서 벗어나기 - 스노우볼을 굴려라
테스트 코드 Given 절 작성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재사용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소개합니다.
-
Ktor로 팀 환경에 맞는 API 서버 구현하기
Ktor 환경을 팀에 도입해 보고 싶어 직접 구현한 과정을 공유합니다.
-
피처 플래그 개발기: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를 향한 여정
원활한 배포 및 장애 대응을 위한 피처 플래그를 개발하며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정을 공유합니다.
-
Spring 기반 멀티모듈 프로젝트 환경변수 설정 방법
Spring 기반 멀티모듈 프로젝트에서 환경변수 설정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? 여러 가지 방법 중 프로젝트 구성에 도움이 될 만한 방법들을 모아봤습니다.
-
JPA Transactional 잘 알고 쓰고 계신가요?
JPA Transactional과 그에 따른 DB 쿼리 성능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합니다.
-
Hexagonal Architecture, 진짜 하실 건가요?
카카오페이 홈 서버 개편 후 운영 과정에서 Hexagonal Architecture 아키텍처 적용, 제거 경험을 공유합니다.
-
분산 시스템에서 로컬 캐시 활용하기
분산 시스템에서 로컬 캐시를 설계하고 구현한 경험을 공유합니다.
-
Spring Cloud Stream 도입하기
Spring Cloud Stream을 활용한 데이터 조합, 추출, 파이프라인 연결 방법까지 소개합니다.
-
Kotlin 환경에서 로그를 기록할 때 불필요한 문자열 연산을 방지하는 방법
로그를 기록할 필요가 없음에도 문자열 연산을 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봅니다. kotlin-logging 라이브러리에서 String Template을 이용하면서 불필요한 문자열 연산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-
주니어 서버 개발자가 유저향 서비스를 개발하며 마주쳤던 이슈와 해결 방안
혜택 서비스를 개발하며 어떤 이슈가 발생했고, 어떻게 해결했는지 소개하는 글입니다.
-
URL이 이상해요! Java와 Spring 중 범인은 누구?
카카오페이 알림피드 서비스에서 발생한 장애 원인과 해결 과정을 공유합니다.
-
코틀린, 저는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
코틀린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며 직접 경험한 코틀린의 매력을 소개합니다.
-
실무에서 적용하는 테스트 코드 작성 방법과 노하우 Part 3: Given 지옥에서 벗어나기 - 객체 기반 데이터 셋업의 한계
Mock 테스트 코드 작성 중에 마주한 문제들과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노하우를 소개드립니다.
-
사내 공통 목서버로 카카오페이 테스트 진입 장벽 낮추기
카카오페이 테스트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만든 사내 공통 목서버를 소개합니다.